본문 바로가기

카테고리 없음

기무치 뜻 및 김치와의 차이

728x90

기무치는 일본어로 김치를 가리키는 말이다. 일본에서는 현지화되어 일본식 김치를 뜻한다. 자극적이지 않은 일본인 입맛에 맞추어졌으며, 보기에도 좀 하얀 것이 그리 맵지 않아 보인다.

맛은 적당히 식초로 낸 신맛과 설탕을 넣은 단맛이 나며, 우리나라 김치보다는 별로 안 매운 절인 배추나 설탕을 좀 많이 넣은 겉절이와 비슷하다. 원조 한국 김치와 구분해 부를 때는 아사즈케기무치나 와후기무치라고 부르기도 한다. 여기서 아사즈케는 절임이라는 뜻이고, 와후는 일본풍이라는 뜻의 일본어이다.

김치와 기무치의 차이를 좀 더 자세히 보자면, 가장 큰 것은 김치는 두 번의 발효 과정을 거치는 것이다. 먼저 소금에 절였다가 다시 갖은양념과 젓갈을 넣어 버무린 뒤 항아리에 넣고 발효 시켜 김치에 유산균이 훨씬 많다.

한편 김치를 흉내 낸 일본의 기무치는 발효 과정을 거치지 않았고 절임 배추에 화학 첨가물을 넣어 감칠맛을 내기 때문에 뒷맛이 깔끔하지 않다는 평도 있다. 게다가 우리나라 김치에 쓰이는 천일염은 세계 소금 생산량의 0.1%에 불과한 갯벌 천일염으로 김치의 사각거리는 조직감이 살아나고 유산균 증식도 활발해져 맛이 좋음은 물론 항암 기능도 우수하다.

728x90